시카고 교향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카고 교향악단은 1891년 창단된 미국의 오케스트라로, 초대 지휘자 테오도르 토머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프레데릭 스톡, 프리츠 라이너, 게오르그 솔티, 다니엘 바렌보임 등을 거쳐, 2010년부터 리카르도 무티가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2027년에는 클라우스 매켈래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오케스트라 홀에서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고, 라비니아 페스티벌에 참여하며, 다수의 음반을 발매하여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관현악단 - 보스턴 교향악단
보스턴 교향악단은 1881년 헨리 리 히긴슨이 창단한 미국의 대표적인 교향악단으로, 보스턴 심포니 홀을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앙상블과 협력하여 폭넓은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관현악단 - NBC 교향악단
NBC 교향악단은 1937년 데이비드 사르노프에 의해 창단되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지휘 아래 방송 연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1954년 토스카니니 은퇴와 함께 해체 후 단원들이 심포니 오브 디 에어를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나갔다. - 시카고 출신 음악 그룹 - 폴 아웃 보이
2001년 일리노이주에서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폴 아웃 보이는 팝 펑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과 "Sugar, We're Goin' Down", "Dance, Dance"와 같은 히트곡으로 2000년대 중반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3년 재결합 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음악적 성취를 인정받고 있다. - 시카고 출신 음악 그룹 - 윌코
1994년 제프 트위디를 중심으로 결성된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윌코는,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음악과 꾸준한 음악적 혁신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적 색깔을 구축해왔으며 자체 레이블 dBpm 레코드를 설립하여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시카고 교향악단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관현악단 |
원래 이름 | Chicago Symphony Orchestra |
설립일 | 1891년 |
위치 | 미국일리노이주시카고 |
콘서트홀 | 심포니 센터 |
웹사이트 | www.cso.org |
음악 감독 | |
종신 명예 음악 감독 | 카르도 무티 |
차기 음악 감독 (2027/2028 시즌부터) | 클라우스 마켈라 |
관련 정보 | |
장르 | 클래식 음악 |
2. 역사
1891년 찰스 노먼 페이의 후원으로 '시카고 관현악단'이 창립되었고,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를 역임한 테오도르 토머스가 초대 상임 지휘자로 초빙되었다. 1891년 10월 16일 오디토리움 극장에서 첫 연주회가 열렸으며, 토머스는 베토벤, 브루크너 등 독일계 작품을 중심으로 레퍼토리를 넓혔다.[1]
1904년 12월, 토머스의 제안으로 대니얼 H. 번햄이 설계한 새로운 상주 공연장인 시카고 오케스트라 홀(현재의 심포니 센터)이 개관되었으나,[1] 토머스는 며칠 뒤인 1905년 1월에 타계했다. 악단은 그의 업적을 기려 '테오도르 토머스 오케스트라 홀'이라는 명칭을 현관부에 새겨넣었다.[1] 시카고 오케스트라는 뉴욕 필하모닉,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세인트루이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오케스트라 중 하나이다.
2. 1. 20세기 초 (스톡 시대)
프레데릭 스톡은 시어도어 토머스의 후임으로 1905년에 임명되어 1942년 타계할 때까지 시카고 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 스톡은 스트라빈스키와 프로코피에프 등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과감하게 레퍼토리에 추가하는 등 개혁을 단행하였다.[1] 1913년에는 악단 명칭을 현재의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로 변경하였고,[1] 1916년에는 스톡의 지휘로 첫 음반 녹음을 하였다.[1]1919년, 스톡은 미국 최초의 주요 교향악단 부속 훈련 오케스트라인 시카고 시빅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3] 이 오케스트라는 전문 연주자 이전 단계의 음악가를 모집하여 최고 수준의 오케스트라 연주자로 훈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3] 많은 졸업생들이 시카고 교향악단(CSO)이나 다른 주요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게 되었으며, 현재 북미 지역에서 주요 오케스트라가 후원하는 유일한 훈련 오케스트라이다.[3]
2. 2. 20세기 중반 (쿠벨릭, 라이너 시대)
프레데릭 스톡 사후, 데지레 드포, 아르투르 로진스키, 라파엘 쿠벨릭이 차례로 음악 감독을 역임했으나, 모두 단기 재임에 그쳤다.[32]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영입이 추진되기도 했으나, 나치스를 피해 미국에 망명한 음악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953년, 프리츠 라이너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악단의 합주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RCA에서 본격적인 음반 녹음을 시작하며 악단의 제1의 전성기를 이끌었다.[32] 라이너는 바르토크, 베토벤, R. 슈트라우스, 레스피기, 림스키 코르사코프, 브람스, 드보르자크, 차이콥스키 등의 명반을 남겼다. 1957년, 마거릿 힐리스를 초빙하여 시카고 교향악단 합창단을 창설했다.[32] 힐리스가 지휘하는 합창단은 1958년에 브루노 발터 지휘로 모차르트의 레퀴엠으로 데뷔하였고, 같은 해 라이너 지휘로 베르디의 레퀴엠 연주에 참여했다.
2. 3. 20세기 후반 (마르티농, 솔티, 바렌보임 시대)
1963년, 프리츠 라이너의 뒤를 이어 프랑스 출신의 장 마르티농이 제7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32] 마르티농은 프랑스 음악과 현대 음악을 적극적으로 소개하며 RCA에 다양한 음반을 남겼다. 정기 연주회 프로그램에 현대 작품을 반드시 포함시키는 등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으나, 악단 운영진과의 갈등, 언론의 부정적인 평가, 단원들 간의 대립 등으로 인해 1968년에 사임했다.[32]1969년, 조지 숄티가 제8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1991년까지 재임했다. 숄티는 베토벤, 브람스, 말러의 교향곡 전곡 녹음을 비롯한 많은 음반을 데카에 취입했으며, 악단의 연주력과 표현력을 창단 이래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금관악기 파트의 실력은 미국 제일이라는 찬사를 받았다.[32] 숄티의 재임 기간은 시카고 교향악단의 제2의 전성기로 여겨진다.
1991년, 다니엘 바렌보임이 제9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6년까지 재임했다.[32]
2. 4. 21세기 (하이팅크, 무티, 매켈래 시대)
2006년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수석 지휘자를, 피에르 불레즈가 명예 지휘자를 역임하였다.[32] 2008년 5월, 교향악단 이사회는 리카르도 무티를 신임 음악 감독으로 초빙하기로 결정하였고, 무티는 2010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32]무티는 취임 전에는 레퍼토리를 엄선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취임 후에는 "미국 악단이 지휘자에게 요구하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하며 현대 음악 초연을 포함해 레퍼토리를 확충했다. 또한 교도소 위문, 학교 방문 등 지역 사회 활동과 미디어 노출도 활발하게 하였다. 2009년 자체 레이블로 발매한 베르디의 레퀴엠은 그래미상 (클래식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19년 3월, 악단원의 연금 제도를 둘러싸고 운영 측과 악단원이 심각하게 대립하여 파업에 돌입했지만, 무티는 이른 시기부터 악단원들의 피켓 시위에 참여하는 등 악단원을 지지하는 자세를 취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단되면서 계약을 2023년까지 연장했다.
2022-2023년 시즌 종료와 함께 무티는 음악 감독에서 퇴임했으며, 종신 명예 음악 감독 칭호를 수여받았다. 2024년 4월, 시카고 교향악단은 차기(제11대) 음악 감독으로 클라우스 매켈래를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매켈래는 2027년 9월에 취임할 예정이다.[33]
3. 주요 활동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오케스트라 홀에서 열리는 정기 연주회를 비롯한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고 있다. 여름에는 하이랜드 파크에서 열리는 라비니아 페스티벌에 상주 관현악단으로 참여하며, 오페라나 발레 등 무대 작품 공연에도 종종 참가한다.[16][17]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에는 공연이 취소되기도 했다.[18]
세이지 오자와, 제임스 레바인,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제임스 콜론 등 여러 지휘자들이 라비니아에서 시카고 교향악단과 함께 데뷔하거나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19] 2021년부터 마린 올솝이 수석 지휘자 겸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판타지아 2000 등 영화 및 애니메이션 작품의 사운드트랙 녹음에도 참여했다.
1919년 프레데릭 스톡은 미국 최초의 주요 교향악단 부속 훈련 오케스트라인 시카고 시빅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이 오케스트라는 전문 연주자 이전 단계의 음악가를 최고 수준으로 훈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많은 졸업생이 시카고 교향악단이나 다른 주요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하고 있다. 시카고 시빅 오케스트라는 매년 시카고 심포니 센터와 시카고 지역의 다른 공연장에서 무료로 콘서트와 실내악 시리즈를 개최한다.
1925년부터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21] 미국의 주요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을 통해 연주회를 정기적으로 중계하고 있다.
3. 1. 음반 녹음
시카고 교향악단은 1916년 5월 1일, 프레더릭 스톡 지휘로 펠릭스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 중 결혼 행진곡을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녹음하면서 음반 녹음 역사가 시작되었다.[21] 스톡과 시카고 교향악단은 컬럼비아와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RCA 빅터에서 수많은 음반을 녹음했다. 1925년 12월에는 빅터에서 카를 골드마르크의 ''봄날'' 서곡 연주를 포함한 최초의 전기 녹음을 했다.[21] 초기 전기 녹음은 빅터의 시카고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고, 몇 년 안에 빅터는 오케스트라 홀에서 시카고 교향악단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스톡은 1942년 사망할 때까지 컬럼비아와 RCA 빅터에서 녹음을 계속했다.1951년, 라파엘 쿠벨릭은 머큐리 레코드에서 최초의 현대적인 고음질 녹음을 했다. 이 연주는 단일 마이크로 이루어졌으며, 필립스는 이 연주를 머큐리 레이블과 라이너 노트를 그대로 사용하여 컴팩트 디스크로 재발매했다.
1954년 3월, 프리츠 라이너는 시카고 교향악단과 함께 오케스트라 홀에서 RCA 빅터를 위해 최초의 스테레오 녹음을 했다.[21] 여기에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두 교향시 ''영웅의 생애''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연주가 포함되었다. 라이너와 오케스트라는 1963년까지 RCA 빅터에서 녹음을 계속했으며, 대부분 3채널 "리빙 스테레오" 프로세스로 녹음되었다. RCA는 이 녹음을 디지털 방식으로 리마스터링하여 CD와 SACD로 출시했다. 장 마르티농 역시 1960년대에 RCA 빅터와 함께 시카고 교향악단과 녹음하여 CD로 재발매된 연주를 제작했다.

조지 솔티 경은 주로 데카 레코드와 함께 시카고 교향악단과 녹음했다. 그의 녹음은 미국에서 런던 레이블로 발매되었으며, 역사적인 메디나 템플에서 부분적으로 녹음된 호평을 받은 말러 시리즈를 포함한다. 일부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나)의 크래너트 공연 예술 센터와 오스트리아 빈의 소피엔잘에서도 녹음되었다.[21] 다니엘 바렌보임과의 많은 녹음은 텔덱에서 발매되었다.
2007년, 시카고 교향악단은 자체 녹음 레이블인 CSO 리사운드를 설립했다.[21] 첫 번째 CSO 리사운드 CD는 베르나르트 하이팅크가 연주한 말러의 교향곡 3번 녹음으로, 2007년 봄에 발매되었다. 그 뒤를 이어 하이팅크가 지휘한 브루크너의 교향곡 7번, 말러의 교향곡 6번,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4번 (그래미 수상), 정명훈이 지휘한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5번, 요요 마와 함께한 "전통과 변형: 실크로드 시카고의 소리" (그래미 수상), 무티가 지휘한 베르디의 레퀴엠 (그래미 수상)과 오텔로 녹음이 포함되었다.
시카고 교향악단과 시카고 심포니 합창단의 음반은 레코딩 아카데미에서 65개의 그래미 상을 수상했다.
3. 2. 방송 출연
시카고 교향악단은 1925년부터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21] 이후 방송은 종종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계속되었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 시카고 라디오 방송국 WFMT에서 시카고 교향악단의 콘서트를 정기적으로 녹음 지연 스테레오로 방송했다.[21] 이후 후원 부족으로 중단되었다가 1976년부터 2001년까지 다시 방송을 재개했다.[21] 2007년에는 52주 시리즈로 방송이 다시 시작되었는데, BP가 후원했으며 시카고의 98.7 WFMT와 WFMT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된다.[21]시카고 교향악단은 1953년부터 WGN-TV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60년대 초에는 프리츠 라이너와 아서 피들러, 조지 셀, 피에르 몽퇴, 샤를 뮌슈를 포함한 객원 지휘자들이 지휘하는 ''시카고의 음악''이 방영되었다. 1953년부터 1963년까지 방송된 이 텔레비전 콘서트 중 다수는 이후 비디오 아티스트 인터내셔널에 의해 DVD로 출시되었다.
게오르그 솔티 경도 시카고 교향악단과 함께 유럽 기업 유니텔을 위해 녹음된 일련의 콘서트를 지휘했으며, 이 콘서트는 1970년대에 PBS에서 방송되었다. 이후 데카 비디오에서 DVD로 다시 발행되었다.
4. 역대 지휘자
시카고 교향악단은 1891년 시카고의 사업가 찰스 노먼 페이가 테오도르 토마스를 초빙하여 창단되었다.[1] 역대 음악 감독으로는 테오도르 토마스, 프레데릭 스톡, 데지레 데포, 아르투르 로진스키, 라파엘 쿠벨릭, 프리츠 라이너, 장 마르티농, 어윈 호프만(임시), 조지 숄티, 다니엘 바렌보임, 리카르도 무티가 있다. 2027년부터는 클라우스 매켈래가 음악 감독을 맡을 예정이다.[14][15]
베르나르트 하이팅크는 2006년부터 수석 지휘자를 맡고 있으며,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1969~1972), 클라우디오 아바도(1982~1985), 피에르 불레즈(1995~2006, 이후 명예 지휘자)는 수석 객원 지휘자를 역임했다.
4. 1. 음악 감독
시카고 교향악단의 역대 음악 감독은 다음과 같다.이름 | 재임 기간 | 주요 업적 |
---|---|---|
테오도르 토머스 | 1891~1905 | 시카고 교향악단의 전신인 시카고 오케스트라 창단, 베토벤, 브루크너 등 독일계 작품 중심 레퍼토리 구축[1] |
프레데릭 스톡 | 1905~1942 |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등 동시대 작곡가 작품 추가, 1913년 악단 명칭을 시카고 교향악단으로 변경[1] |
데지레 데포 | 1943~1947 | 현대 음악 적극 소개[1] |
아르투르 로진스키 | 1947~1948 | 리하르트 바그너 악극 연주회 형식 상연, 펠릭스 멘델스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작품 녹음, 아돌프 허세스 입단[1] |
라파엘 쿠벨릭 | 1950~1953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안토닌 드보르자크, 바르토크 벨러, 요하네스 브람스 명반 녹음[1] |
프리츠 라이너 | 1953~1962 (1962~1963 음악 고문) | 악단 합주력 크게 향상, 미국 최고 오케스트라 반열, RCA에서 다수 녹음[1] |
장 마르티농 | 1963~1968 | 프랑스 음악, 현대 음악 적극 연주[1] |
어윈 호프만 | 1968~1969 (음악 감독 대리) | 장 마르티농 사임 후 조지 숄티 취임 전 임시 음악 감독[1] |
조지 숄티 | 1969~1991 | 베토벤, 브람스, 말러 교향곡 전곡 등 데카에서 다수 음반 녹음, 악단 합주력 및 표현력 크게 향상[1] |
다니엘 바렌보임 | 1991~2006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지휘 및 연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악극 연주회 형식 상연, 현대 작품 연주[1] |
리카르도 무티 | 2010~2023 | 현대 음악 초연, 커뮤니티 활동, 베르디 레퀴엠 그래미상 수상[1], 평생 명예 음악 감독 칭호[13] |
클라우스 매켈래 | 2027년~ (예정) | 2027–2028 시즌부터 5년 계약[14][15] |
수석 지휘자는 다음과 같다.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2006~)
수석 객원 지휘자는 다음과 같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1969~1972)
- 클라우디오 아바도(1982~1985)
- 피에르 불레즈(1995~2006, 이후 명예 지휘자)
4. 2. 수석 지휘자
베르나르트 하이팅크는 2006년부터 시카고 교향악단의 수석 지휘자를 맡고 있다.[23]4. 3. 수석 객원 지휘자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1969-1972)
- 클라우디오 아바도 (1982-1985)
- 피에르 불레즈 (1995-2006, 이후 명예 지휘자)
4. 4. 라비니아 페스티벌 음악 감독
시카고 교향악단은 일리노이주 하이랜드 파크의 라비니아 공원에 있는 라비니아 페스티벌의 상주 악단이다. 1904년 라비니아 공원이 개장한 지 2년 후인 1905년 11월 20일에 처음 공연했고, 1931년 8월까지 간헐적으로 공연했다. 이후 대공황으로 4년간 공원이 문을 닫았다.[16] 1936년 7월 3일, 라비니아 공원이 재개장하면서 시카고 교향악단은 라비니아 페스티벌의 첫 시즌 개막을 도왔고,[17] 이후 매년 여름마다 페스티벌에 출연하고 있다.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은 예외였는데, 2020년 시즌 모든 콘서트가 취소되어 오케스트라는 공연을 열지 못했다.[18]많은 지휘자들이 라비니아에서 시카고 교향악단과 함께 데뷔했으며, 오자와 세이지, 제임스 레바인,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등 여러 지휘자들이 페스티벌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제임스 콜론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음악 감독을 맡았다.[19] 라비니아 페스티벌은 제임스 레바인에게 "수석 지휘자(Conductor Laureate)"라는 명예 칭호를 부여하고, 2018년부터 5년 연장 가능한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2017년 12월 4일, 레바인이 성추행 혐의로 기소되자 라비니아 페스티벌은 레바인과의 모든 관계를 끊고 계약을 해지했다.[20] 마린 올솝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페스티벌의 초대 예술 큐레이터로 활동했고, 2021년에는 수석 지휘자 겸 큐레이터가 되었다.
역대 라비니아 페스티벌 음악 감독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이름 |
---|---|---|
1959–1963 | 예술 감독 | 월터 헨들 |
1964–1968 | 음악 감독 | 오자와 세이지 |
1969 | 수석 지휘자 | 오자와 세이지 |
1970–1972 | 수석 지휘자 | 이슈트반 케르테스 |
1973–1993 | 음악 감독 | 제임스 레바인 |
1995–2003 | 음악 감독 |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
2005–2015 | 음악 감독 | 제임스 콜론 |
2018–2019 | 예술 큐레이터 | 마린 올솝 |
2020–현재 | 수석 지휘자 및 큐레이터 | 마린 올솝 |
5. 한국과의 관계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977년 게오르그 솔티 경의 지휘로 첫 내한 공연을 가졌으며, 이후 1986년, 1990년(솔티), 1995년, 2003년, 2009년, 2019년(리카르도 무티)에도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하였다. 특히 1990년 게오르그 솔티와 함께한 내한 공연은 당시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명성을 한국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출신 지휘자 정명훈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 및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음반 녹음(CSO 리사운드)을 한 바 있다.
6. 기타
미국 5대 오케스트라 중 하나로 꼽히며, 뉴욕 필하모닉, 보스턴 교향악단, 클리블랜드 관현악단, 필라델피아 관현악단이 이에 속한다.[32]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참조
[1]
뉴스
Which U.S. Orchestras are Best?
http://www.time.com/[...]
1983-04-25
[2]
서적
Fritz Reiner: Maestro & Martine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
뉴스
The great provincials
The Guardian
1971-10-04
[4]
뉴스
Symphony returns
https://archive.toda[...]
Chicago Daily Defender
1971-10-06
[5]
뉴스
Chicago SO
The Times
1971-09-06
[6]
뉴스
Chicago SO/Solti
The Times
1971-10-05
[7]
간행물
Solti, Sir Georg (1912–1997)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01
[8]
뉴스
And the Brass Ring Goes to Chicago Symphony: Riccardo Muti Says Yes
https://www.nytimes.[...]
2008-05-05
[9]
뉴스
Chicago – Chicago : News : Politics : Things To Do : Sports
http://voices.suntim[...]
2014-02-03
[10]
간행물
Riccardo Muti to remain CSO music director until 2021–22
https://csosoundsand[...]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18-01-30
[11]
간행물
Muti talks about '20–21 season, also ''Cavalleria rusticana'', on WDCB-FM
https://csosoundsand[...]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20-01-28
[12]
간행물
Riccardo Muti extends contract as Music Director of the Chicago Symphony Orchestra through 2023
https://cso.org/medi[...]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21-09-23
[13]
뉴스
Riccardo Muti honored with new CSO title
https://chicagoclass[...]
2023-06-23
[14]
간행물
Klaus Mäkelä named next music director of the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s://cso.org/expe[...]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24-04-02
[15]
뉴스
Klaus Mäkelä, 28-Year-Old Finnish Conductor, to Lead Chicago Symphony
https://www.nytimes.[...]
2024-04-02
[16]
웹사이트
125 Moments: 054 Ravinia Park | from the archives
https://csoarchives.[...]
2018-10-22
[17]
웹사이트
125 Moments: 064 Ravinia Festival | from the archives
https://csoarchives.[...]
2016-04-12
[18]
웹사이트
Ravinia Cancels 2020 Season Due to Covid Pandemic
https://www.ravinia.[...]
2020-05-01
[19]
웹사이트
125 Moments: 116 James Conlon | from the archives
https://csoarchives.[...]
2017-03-29
[20]
웹사이트
Boston Symphony management to industry: Reflect upon reports of sexual misconduct
http://www.berkshire[...]
2017-12-06
[21]
간행물
Chicago Symphony Orchestra Announces Major Radio and Recording Initiatives
http://www.wfmt.com/[...]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06-11-30
[22]
뉴스
Chicago Symphony Orchestra 2023–24 season ushers in new era
https://chicago.sunt[...]
2023-02-15
[23]
웹사이트
Riccardo Muti named Music Director Emeritus for Life
https://cso.org/expe[...]
2023-06-23
[24]
뉴스
Chicago Symphony Tops U.S. Orchestras
http://www.npr.org/t[...]
[25]
간행물
Chailly and the Berliner Philharmoniker: the critics' choice for World's Best Conductor and Orchestra
https://bachtrack.co[...]
2015-09-03
[26]
웹사이트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s://classicalwal[...]
[27]
웹사이트
Governing Members
http://cso.org/suppo[...]
[28]
웹사이트
Latino Alliance {{!}}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s://cso.org/supp[...]
[29]
웹사이트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cso.org/suppo[...]
[30]
웹사이트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cso.org/suppo[...]
[31]
웹사이트
Women's Board
https://cso.org/supp[...]
[32]
문서
The Lebrecht Weekly - Bucks stop here -- The Biggest Need Not Be the Best
http://www.scena.org[...]
[33]
웹사이트
シカゴ発 〓 シカゴ響の第11代音楽監督にクラウス・マケラ
https://m-festival.b[...]
[34]
웹사이트
David Cooper
https://www.laphil.c[...]
[35]
웹사이트
Mark Almond {{!}} Chicago Symphony Orchestra
https://cso.org/ab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